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성

애플(apple) 삼성(samsung) 판결 후 삼성 애플 판결 후 삼성의 입장이란 글을 읽어 보았는데 재밌는 내용이 있군요. 삼성 = '혁신' (?) 이거 맞는 말인가요? 전 애플이 '혁신'에 더 가깝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남의 물건 카피하고, "시장에서 '혁신'을 통해 정정당당하게 경쟁하지 않고," ( 카피 관련 요약 자료 : http://konatamoe.com/20165267804 ) 이런 표현을 쓰는 건 좀 아닌것 같은데요. 만약 입장을 바꿔서 삼성이 애플이고, 중국기업이 삼성이 었다면 이렇게 쪽팔린 복제를 보고 국민들이나 언론은 뭐라고 했을지 궁금하군요. 우리 국민들 지적재산권 개념이 너무 없는것 같습니다. 당장 IT개발자인 나부터도 정품보다 복제품이 더 많이니... 정말 부끄러운 현실이네요. 한번 읽어 보시고 판단 하시길... ( 출처 : ht.. 더보기
[성공을 부르는 습관]삼성 임원들 뭘 배우나 [삼성 임원들 뭘 배우나] 삼성, 21C 키워드는 창의·선견·유연…性善說로 조직관리 한경 입수 임원 교육자료 분석 글로벌 경제위기가 휘몰아쳤던 지난해 국내 최고기업인 삼성도 어쩔 수 없이 '위기와 생존'을 핵심 키워드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 삼성그룹 위기극복의 상징이자 글로벌 도약의 주역인 이건희 전 회장의 경영철학인 '지행(知行)33훈'을 재해석한 '신지행 33훈'이 나온 것도 이때였다. 하지만 올해는 분위기가 180도 달라졌다. 경영의 중추 역할을 하는 임원들에게 당부하고 있는 핵심단어는 '미래,변화,트렌드'로 바뀌었다. 명실상부한 글로벌 리딩컴퍼니 자리를 굳히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176억달러에 머물렀던 삼성의 브랜드 가치를 2030년 1000억달러로..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