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아 교육

인지/언어 발달을 위한 부모의 역할 인지/언어 발달을 위한 부모의 역할 ▶인지발달 인지란, 사람이 오감각을 통해 받아들인 자료나 정보들을 필요할 때 재생하여 사고하고, 추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용하여 환경이나 자신에 대한 지식을 획득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기억력, 주의집중, 문제해결, 대상영속성의 획득 등이 영아기 인지발달의 중요한 과업이 됩니다. 아주 어린 영아기부터 기억력이 발달한다고 합니다. 예컨대, 생후 5개월 된 영아에게 사람의 얼굴모습을 보여주고 2주 후 기억상태를 점검하였을 때, 그 얼굴의 몇 가지 요소를 기억하였다고 합니다. 만 2세경의 영아가 어느 순간, 엄마나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흉내내는 것을 보고 놀랐던 경험이 있었을 것입니다. 이것을 과거에 보거나 경험했던 것을 저장해 두었다가 재생하여 표현하는 ‘지연모방.. 더보기
이렇게 해주세요(정서,13~18개월) 이렇게 해주세요(정서,13~18개월)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아이는 더이상 엄마 품에 안겨 있는 아이가 아니랍니다. 혼자 걷고, 가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만큼 독립적이고 싶어하는 욕구가 강해집니다. 그래서 여러 감정을 나름의 방법으로 표현하게 되는데, 엄마가 보기에는 무조건 떼를 쓰는 것 같아 보입니다. 그래서 무조건 ‘뚝 그쳐!’라는 말로 아이의 감정을 억누르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그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세요. 요구를 들어주고, 적절하게 감정을 표현하는 모범을 보여주세요. ‘엄마는 지금 세현이가 웃어서 기분이 참 좋아’라고 엄마의 감정도 이야기 해주시고, 아이의 감정도 말로 표현해 주세요. 반복해서 감정을 듣다보면 아이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 가게 될것입니다. ▶아이에.. 더보기
13~18개월 성장과정_정서 나는 이런 모습(정서,13~18개월) 아이가 돌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감정을 표현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잘 웃기도 하고, 잘 울기도 하며, 또 잘 삐지기도 한답니다. 자기가 하려는 것을 저지하면 화도 냅니다. 이렇듯 감정의 기복이 심하답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하고, 슬퍼하는 모습을 보면 위로도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자기 중심성이 강해서 자기 방식대로 감정을 해석하고 이해한답니다. ▶친구가 울면 달래요 자유롭게 걷게 되면서 밖으로 나가는 일이 많아집니다. 그러면 유독 또래에게 웃음짓기도 하고 다가가서 얼굴을 만지기도 합니다. 이 시기는 또래를 사귄다는 개념보다는 자신과 비슷한 모습에 끌리게 됩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친구가 넘어져서.. 더보기
13~18개월_신체발달 나는 이런 모습(신체,13~18개월) 가장 큰 발달특징은 바로 ‘잘 걷는다’는 것입니다. 혼자서 가구를 붙잡고 일어서서 발자국을 떼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이제 아이는 자유롭게 걷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 아이의 걷기는 단순히 신체적 능력발달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뒤도 안 돌아보고 열심히 걷는 능력을 통해서 아이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답니다. 엄마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가고 싶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신체적 유능감이 형성되는 시기입니다. ▶가고 싶은 곳으로 갈 수 있어요 한발자국씩 떼는 수준에서 벗어나 안정된 자세로 가고 싶은 곳으로 갈 수 있게 됩니다. 이전에는 벽을 잡고 서서 조금 걷다가 엉덩방아를 찧곤 했는데, 마음먹은 대로 자유롭게 움직이니 얼마나 신이 날까요? 그 동안 가.. 더보기
13~18개월 성장과 발달 나는 이런 모습(언어,13~18개월) 돌 무렵 말하기 시작한 ‘엄마’라는 한 단어에서 시작해서 점차 여러 개의 단어를 말하게 됩니다. 말할 수 있는 단어는 몇 개 안되지만,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이 점차 발달하게 됩니다. ‘엄마’ 라는 말 이외에도 자기이름과 몇 개의 단어를 말할 수 있게 되면, 그림을 보여주면 사물을 짚어내기도 하고 이야기하는 흉내도 ‘웅얼웅얼’ 낼 수 있습니다. ▶간단한 말은 알아듣고 행동해요 돌이 지나면서 아이는 엄마의 말을 모두 이해하는 것 같이 보입니다. 또한 자신이 하는 말과 소리를 들으면서 즐거워하기도 합니다. 이 시기는 드디어 정확한 단어들를 말하기 시작합니다. 엄마, 아빠 외에도 몇 개의 단어를 말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엄마랑 이야기가 통합니다. ‘이리와’ 라든지.. 더보기

반응형